분석화학 스터디
안녕하세요. 저희 연구실에서는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분석화학과 관련된 내용을 함께 공부하고 서로의 지식을 나누는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터디 이후에는 간단한 학술 정보 공유 글을 홈페이지 커뮤니티에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겉보기엔 익숙하고 당연하게 여겼던 분석화학의 개념이나 이론들 속에서도 우리가 놓치고 있던 기초적인 원리나 핵심 개념들을 다시 돌아보며 분석화학에 대해 더 깊고 정확한 이해를 쌓아가고자 합니다.
연구실 멤버분들뿐만 아니라 이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시는 모든 분들께도 작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 되었으면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검출한계, Limit of Detection(LOD)란?
분석화학 및 다양한 연구 논문에서는 “LOD를 어디까지 낮췄고, 기존 방법에 비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분석기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이면서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법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기준 중 하나입니다.
IUPAC에서는 LOD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The limit of detection, expressed as the concentration, or the quantity is derived from the smallest measure, that can be detected with reasonable certainty for a given analytical procedure.
즉, LOD란 주어진 분석 방법에서 합리적인 신뢰도로 검출 가능한 가장 작은 측정값을 의미합니다.
LOD는 다음 아래와 같은 식은 LOD 계산에서 사용되는 수식입니다.
여기서 bi는 공시료(Blank)를 의미합니다. LOD는 공시료의 평균 신호값과 공시료의 표준편차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공시료의 표준편차 앞에 곱해진 k는 원하는 신뢰수준에 따라 선택되는 통계적 계수입니다.
통계적 계수인 k는 일반적으로 3을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표준편차는 데이터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1표준편차는 평균으로부터의 거리가 1표준편차만큼 떨어진 값을 의미합니다. 2표준편차, 3표준편차는 각각 평균으로부터 2배, 3배의 표준편차 거리만큼 떨어진 값을 의미합니다. 만약 어떤 샘플의 신호가 평균에서 3배 이상의 표준편차만큼 크다면, 이 신호가 단순한 노이즈가 아니라는 것을 약 99.7%의 신뢰도로 말할 수 있습니다. 기기 분석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노이즈와 명확히 구별되는 신호로 간주하고 '무언가를 검출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LOD 개선 바이오센서 논문 예시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87 (2017) 646–653
이 논문은 West Nile 바이러스의 DNA를 검출하기 위한 interdigitated electrodes(IDE) capacitive 바이오센서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DNA 프로브를 전극 표면에 고정하여 DNA 분자를 약 20개 수준까지 검출한 연구 결과를 보여줍니다. IDE 사이에 상보적인 타겟 DNA가 결합할 때, 전극 근처의 이온 분포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이중층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DNA 분자를 검출했습니다. 타겟 DNA 분자가 0일 때, 즉 Blank에서의 신호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신호를 통해 LOD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3 LOD의 중요성
LOD는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준선입니다. 따라서 센서 분야에서, 특히 미량분석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됩니다. LOD가 낮을수록 미량의 타겟 물질도 검출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며 곧 센서나 분석법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따라서 환경, 식품, 포렌식,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극미량의 타겟을 검출하는 것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입니다. 앞으로도 얼마나 낮은 LOD의 센서를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지속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